도커 이미지를 생성하는데 사용된 명령어들을 확인하고 싶을 때 docker history를 사용할 수 있다.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
docker history <옵션명> <Repository명{:tag명} or 이미지ID>
여기서 {:버전명}은 생략 가능하고, 생략 시 가장 최신의 repository의 image history를 가져온다.
옵션 리스트는 아래와 같다.
- --quite or -q: 이미지의 ID만을 출력한다.
- --no-trunc: 생략된 부분들을 모두 출력한다.
옵션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default로 너무 긴 경우는 생략해서 출력한다.
출력 결과
1. 기본 명령을 사용해 출력한 결과 아래와 같다.
- IMAGE ID, 생성 시간, 생성 이유, 크기, Comment를 출력한다.
- 생성 이유에서 명령어 (or 이미지)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 각 명령어들은 하나의 이미지로 실행되기 때문에 하나의 ID를 가진다. 즉, 생성된 이미지와 명령어의 이미지는 dependency를 가지게 된다 (생성된 이미지 -> child, 명령어 이미지 -> parent 관계).
2. --quite 옵션을 적용한 경우
- Image Id만 리스팅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no-trunc 옵션을 적용한 경우
- 축약 되었던 이미지 ID와 명령어 등이 full로 출력되게 된다.
'서버 및 환경 > Util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rflow] 파이썬에서 Error 로그가 airflow에서는 INFO로 뜨는 이유 (0) | 2023.03.30 |
---|---|
[Airflow] 에어플로우 BashOperator 에러 발생 안할 때 해결 방법 (0) | 2023.01.25 |
[Docker] 도커 이미지 삭제 시 image has dependent child images 에러 해결 (0) | 2022.09.29 |
[Docker] 도커 none 이미지 제거하기 (0) | 2022.09.23 |
[Docker] 도커 컨테이너 로그 확인 방법 (3) | 2022.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