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st Do It.

그냥 IT해.

반응형

서버 및 환경 61

[Linux] 특정 파일의 변수 리스트를 환경변수로 설정하기

문제 변수명과 변수값이 각각 지정된 .env 파일이 있다고 하자. # .env file ID=smart-hinj PWD=8191 export 명령어를 통해 변수 하나씩 환경변수로 선언할 수 있겠지만, .env 파일 내 변수의 수가 많아지면 변수 하나씩 export 하기에는 비효율적이다. 이 파일에 존재하는 변수 리스트를 환경변수로 바로 전달하는 방법은 없을까? 해결 아래 명령어를 통해 .env 파일 내 변수 리스트를 환경변수로 한번에 전달할 수 있다. 아래 명령어를 shell에서 실행하자. set -a # automatically export all variables source .env set +a 참조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43267413/shell-how-..

[PostgreSQL] 쌍콜론 (::, double colon) 의 의미와 CAST 함수

최근 인수인계 받은 코드를 정리 중인데, SQL문에 처음보는 쌍콜론이 있어서 내용을 정리한다. 우리회사에서는 postgreSQL을 사용 중인데, postgreSQL에서는 쌍콜론이 CAST와 같은 역할을 한다고 한다. 바로 예시와 함께 알아보자. 코드는 아래의 예시처럼 되어있었다. SELECT 1.2::integer 코드를 통해 유추 가능하듯이, 어떤 표현식(값, 칼럼, 표현 등)의 데이터 타입을 쌍콜론 뒤에 타입으로 변형해주는 내용이다. 위 코드에서는 1.2의 값을 integer로 표현하게 된다. 1.2는 float형인데 이를 정수형인 integer로 변환해 표현하기 때문에 결과 값은 1로 출력된다. CAST를 써서 위 코드를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SELECT CAST(1.2 AS integer) 결과..

[Git] git에 add / commit / push 하기 (파일 등록부터 업로드까지)

[Git] Git 로컬 저장소 생성 및 원격 저장소와의 연결, 복제 (git init / git remote / git pull / git clone) Git은 가장 먼저 해야할 일이 있다. git 저장소를 생성하는 일인데, git 저장소는 파일의 생성, 변경 내용, 삭제 등을 기록하게 된다. 그러면 사용자가 commit한 지점마다의 파일들의 생성 / 변경 / 삭 jost-do-it.tistory.com 지난번 글에서 git 저장소 생성과 원격 저장소와 연결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이번 글에서는 git 저장소에 파일들의 변경 이력을 추가하고, 이를 로컬 저장소에 등록하고 원격 저장소에 업로드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git 저장소에 파일 변경 이력 추가 (git add) 먼저 파일 내용이 변경되거나 추가, ..

[Git] Git 로컬 저장소 생성 및 원격 저장소와의 연결, 복제 (git init / git remote / git pull / git clone)

Git은 가장 먼저 해야할 일이 있다. git 저장소를 생성하는 일인데, git 저장소는 파일의 생성, 변경 내용, 삭제 등을 기록하게 된다. 그러면 사용자가 commit한 지점마다의 파일들의 생성 / 변경 / 삭제 이력을 추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코드 버전관리, 롤백, 팀원과의 협업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git 로컬 저장소 생성과 원격 저장소와 연결은 보통 아래 명령어로 수행된다. 로컬 경로 내에 git 저장소를 새로 생성 (git init) 및 원격 저장소에 연결 (git remote) git 저장소의 git 정보와 파일 가져오기 (git pull) 위 과정을 한번에 하기 (git clone) 이 글에서는 git 저장소를 생성하고 원격 저장소에 연결하는 방법과 원격 저장소의 파일들을 가져오..

[Linux] 실행 중인 프로세스(PID) 목록 출력 및 프로세스 종료

실행 중인 프로세스(PID) 목록 출력 리눅스에서 실행 중인 프로세스 목록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면 된다. ps 에는 보통 아래 두가지를 많이 사용한다. -e: 실행 중인 모든 프로세스를 출력한다. -f: 프로세스의 모든 정보를 출력한다 (User ID, System 시작 time 등이 추가로 출력됨). 옵션 사용에 따라서 실행결과는 다음과 같이 달라진다. 1. ps만 사용했을 때 2. -e 옵션을 사용했을 때 3. -f 옵션을 사용했을 때 더 자세한 옵션들은 아래 명령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ps --help all 프로세스(PID) 종료 프로세스 종료를 위해서는 아래 명령어를 사용한다. kill 에는 보통 어떻게 종료할 것인가를 부여하게 된다. 보통 강제 종료하기 위해 9번 옵션..

[Oracle] Database 연결 시 발생하는 에러 종류

이번에 회사를 이직하면서 Oracle database에 연결할 일이 생겼다. 나는 오픈소스 기반의 DBeaver가 편해서 해당 소프트웨어로 보통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는데, 연결하면서 몇가지 에러가 발생해 이를 정리하려 한다. 0. 연결 과정 먼저 DBeaver에서 Oracle DB 연결을 위해 아래 과정을 진행한다. (1) 새 데이터베이스 연결을 클릭 (2) 화면에서 Oracle 항목을 선택하고 다음을 클릭 (3) 서버 정보를 입력 Host: 서버(IP) 주소 Port: DB의 포트번호 (Oracle DB의 경우 default는 1521이다). Databse: 데이터베이스 이름 (이름 default는 ORCL이다). Service Name / SID: DB를 단일 인스턴스로 구성할 때는 SID로, 여러 ..

[Windows 11] 윈도우 11 노트북 포맷하기 (복원, 노트북 초기화)

회사를 퇴사하게 되면서 회사 노트북을 포맷할 일이 생겼다. 이왕 포맷하는 김에 포맷 과정을 기록하려 한다. 윈도우 11 포맷 방법 윈도우 11 포맷방법은 간단하다. 우선 윈도우 버튼을 누른다. 그리고 검색창에 복원을 검색하자. 복원을 검색하면 이 PC 초기화 라는 항목이 뜬다. 이 PC 초기화를 클릭해주자. 그러면 시스템 > 복구 화면이 뜨게된다. 여기서 복구 옵션 > 이 PC 초기화 항목의 PC 초기화 버튼을 클릭한다. 그러면 PC 초기화 화면과 함께 두가지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나는 컴퓨터의 완전한 포맷(파일 모두 삭제 및 윈도우 재설치)를 원했기 때문에 모든 항목 제거 옵션을 선택하였다. 그러면 위와 같이 잠시 로딩화면이 뜬다. 로딩을 잠시 기다리면.... 다음으로 윈도우를 어떻게 재설치할 것인..

[노트북] ASUS 비보북 15X 메모리 증설하기 (M1503QA)

https://smart-hinj.tistory.com/40 비보북 15X 제품은 기본적으로 8GB메모리가 장착돼있다. 사실 8GB면 웹서핑까진 무리가 없는데, 게임에서는 조금 버벅거림이 느껴졌다. 성능을 낮추고 게임을 하기에는 OLED에 해상도가 아쉬워서 이번에 메모리 추가를 하게 되었다. 메모리 구매하기 우선 비보북 15X에 적당한 메모리를 구매했다. 비보북 15X에는 기본적으로 DDR4의 3200Mhz 램 8GB가 장착돼 있다. 그리고 3200Mhz DDR4까지 확장슬롯이 지원하기에 DDR4의 3200Mhz 램 16GB를 구매해줬다. 패키징이 잘 되어서 배송이 왔다. 노트북 메모리 확장하기 비보북 15X 제품은 메모리 추가 슬롯이 하나 더 있어서 추가로 장착할 수 있다. 장착 전에 먼저 노트북 하판..

[Windows 11] 윈도우 10에서 윈도우 11로 업그레이드 하기

작년에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윈도우 11 OS가 새로 출시됐다. 윈도우 10 사용자는 윈도우 11로 무료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 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윈도우 11 업그레이드 방법 먼저 윈도우 11 무료 업그레이드 링크로 들어간다. 그러면 위 그림처럼 Windows 11을 무료 다운로드 가능하다는 내용이 나타난다. 지금 업그레이드 확인 을 클릭하자. 클릭하면 사이트에서 내 컴퓨터의 설정 창을 열게 된다. 열기 버튼을 클릭한다. 클릭하면 Windows 11 준비와 관련된 사항이 나타난다. WIndows 11로 업그레이드 하려면 컴퓨터 사양이 최소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충족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하드웨어 요구 사항 확인 버튼을 클릭하자. 클릭하면 시스템 요구사항을 확인해야 한다는 설명이 뜬다. 여기서 PC..

[Windows 10] 윈도우 10 포맷하고 다시 깔기

최근 노트북에 여러 설정들이 충돌나는 경우가 많아졌다. 충돌을 해결하는거보다 포맷을 하는게 나을거 같아 그 과정들을 정리한다. 윈도우 10 포맷하기 윈도우 10 포맷은 간단하다. 먼저 아래 윈도우 버튼을 누르고 초기화를 검색한다. 그리고 이 PC 초기화 를 클릭한다. 그리고 화면에서 복구 > 이 PC 초기화 > 시작 버튼을 누른다. 그러면 PC 초기화를 어떻게 할 것인지 선택하는 옵션이 나타난다. 윈도우 재설치만 하고, 파일들은 유지하고 싶으면 내 파일 유지를 클릭한다. 윈도우 재설치 뿐만 아니라 컴퓨터에 저장된 파일을 모두 제거하고 싶으면 모든 항목 제거를 클릭한다. 나는 컴퓨터 내 디스크 전부를 포맷하길 원해 모든 항목 제거 버튼을 클릭했다. 다음으로 추가 설정 항목이 나타난다. 일단 설정 변경을 눌..

반응형